Accelerate
Your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
Your Digital Transformation

Community EMS, CEMS의 지속가능성은?
에너지 융합형 공동주택 운영 플랫폼

Community EMS, CEMS의 지속가능성은? 에너지 융합형 공동주택 운영 플랫폼

CEMS

2019년 1월 기준 전국의 아파트 규모는 단지 수로는 16,116단지, 세대수는 9,550,326세대에 이르고 있어 전 국민의 50% 이상(전국 최고 지자체는 전남 광주시 63.1%)이 아파트라는 공동 주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014년 난방 열사 사건을 통하여 더욱 이슈화된 ‘아파트 관리’는 2015년 도입된 아파트 의무감사제도 실시로 회계 투명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식비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가계 지출 항목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당 관리비는 ‘12년 2,056원에서 ‘18년 2,182원(27평 아파트 기준 19만 4천원)으로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아파트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시스템(A, AA 등급)은 고가의 설치 비용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메뉴나 필요성의 부재로 실제 기능의 10%~20%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AAA 등급의 IoT 인증이 추가(스마트홈 기능 추가) 되었으나,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스마트홈 서비스와의 개념 혼선 및 필요성 인지 부족 등으로 실제 건설사들의 도입 움직임은 더디기만 합니다. 이는 홈게이트웨이에 Z-WAVE 디바이스(센서/스마트플러그/가스락/도어락 등)를 연동하는 스마트홈 서비스와, 홈넷 월패드와 IoT 가전(냉장고, 세탁기, 에어 가전 등) 중심으로 서비스를 전개하려는 건설사의 접근방식이 다소 상충되거나 충돌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로 통신사업자 중심으로 전개된 국내 스마트홈 시장은 ‘18년 스마트홈 국내 총매출액이 980억, 가입자수 323,000명으로 시장 확산이 더디고 수익모델이 불분명합니다. 이는 폐쇄적인 서비스 구조 안에서 단위 기능에 대한 작동의 편의성만 고려함으로써 가시적이고 명확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신사 스마트홈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부산/대구 등 스마트시티 구축, 산업용 IoT 서비스 구축, 다양한 에너지 ICT 기술 개발 등으로 경험이 풍부한 엔텔스는 그간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앞서 언급된 아파트 관리비, 홈네트워크, 스마트홈 서비스 등 현실적인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인 ‘에너지 융합형 공동주택 운영 플랫폼’을 국내 주요 건설사와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래 개념도 참조)

Community Energy Management System

그림이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목적은 단순합니다. ‘아파트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 어떤 기술들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되고 연결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홈네트워크와 스마트홈 이 외에 아파트라는 공동체 공간은 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설비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관리비는 이런 설비의 운영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공동체가 에너지를 관리함으로써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는가에 대한 몇 가지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옥상이나 지상의 집단 태양광(Community Solar)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사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거나, 생산된 전력을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신재생에너지 인증서)가 필요한 발전회사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야간에 값싼 전기를 저장했다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주요 전기, 수도, 가스 설비에 저렴한 센서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도 이상 유무를 감시함으로써 정전, 고장, 누수 등 사고로 발생되는 사후 복구비용이나 장기수선충당금 지출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국민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지 전체가 DR 프로그램에 가입한 뒤 감축 지시가 내려올 경우 홈네트워크, 스마트홈 가입세대, 설비 관리시스템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일정 시간 전기 사용을 자제한 후 절감된 전기사용량만큼 전력거래소로부터 보상금이나 인센티브를 받는 방식입니다.
  •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퇴근 후 값싼 야간 전기 요금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안도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된 미국 사례에 의하면 전기차 소유자의 95%가 자택이나 사무실에서 전기차를 충전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입주자 대표와 전기차 소유 세대 간에 별도 충전소 설치 문제로 분쟁이 종종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장 내 벽면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와 휴대형 충전기를 이용하는 서비스가 최근 서울/경기 일부 아파트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충전량의 실시간 전송(현재는 통신 요금이 발생하나 전력선통신기술(PLC)로 대체 가능) 등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있긴 하지만, 아파트 입주자에게는 야간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요금이 관리비에 합산되는 등 경제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 아직까지는 공장 등 산업체에만 적용되고 있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운영시스템을 통해 절감된 에너지 총량을 검증하여, 확보한 탄소배출권을 거래 시장에 판매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주거 공동체라는 특수한 공간에 적용되는 에너지 관리 서비스는 어떤 기술을 접목시켜 어떤 가치를 입힐 수 있느냐라는 아이템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오랫동안 지속 가능한가 하는 질문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현대의 기술은 그렇다라고 답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NTELS
Scroll Up